본문 바로가기
테마주의 발생과 종목

호주 에너지 거물 우드사이드, 왜 동해 유전 탐사를 포기했을까?

by 매력적인 주식 2024. 6. 12.
반응형

16년 가까이 동해를 탐사한 호주 업체 우드사이가 장래성이 없다는 이유로 한국에서 철수했습니다.

 

2022년 우드사이드 IER 보고서에 따르면, '대게'와 '집개'는 동해 탐사 지역에서 발견된 잠재적인 유망구조로 평가되었습니다. 하지만, 두 구조 모두 아직 초기 탐사 단계이며, 실제 석유나 가스 매장량과 채굴 가능성은 검증되지 않았습니다.

대게 구조 해저 암석층이 둥글고 볼록하게 돌출된 형태를 의미합니다. 마치 바다 바닥에 서식하는 대게의 등껍질처럼 보이는 모습에서 유래 했습니다.
대게 구조는 석유나 가스가 저장될 가능성이 높은 지질 구조로 여겨집니다. 암석층의 돌출된 형태는 지하에 공간을 형성할 가능성이 높고, 이 공간에 석유나 가스가 채워져 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집개 구조 암석층이 마치 집처럼 솟아오른 형태를 의미합니다. 지표면에서 튀어나온 암석이나 침식으로 인해 드러난 암석층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집개 구조는 석유나 가스가 저장될 가능성이 있는 지질 구조로 여겨집니다. 암석층의 솟아오른 형태는 지하에 공간을 형성할 가능성이 높고, 이 공간에 석유나 가스가 채워져 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https://news.jtbc.co.kr/article/article.aspx?news_id=NB12200399

 

[단독] 우드사이드 철수 직전 '대게·집개' 탐사…"리스크 크다" 평가

이번에는 동해 유전 개발과 관련해 JTBC가 새롭게 취재한 내용입니다. 16년 가까이 동해를 탐사한 호주 업체 우드사이드가 장래성이..

news.jtbc.co.kr


우드사이드는 어떤 회사일까?

호주 서부 퍼스에 본사를 둔 우드사이드는 1950년 설립된 글로벌 에너지 기업입니다. 석유, 가스, LNG 생산 및 판매를 주력 사업으로 하며, 시가총액 약 1조 호주 달러, 매출 약 400억 호주 달러, 종업원 약 12,000명 규모의 거대 기업입니다.

호주 에너지회사 우드사이드

 

주요 사업

  • 석유 : 호주 내 몬티, 로즈베리, 북서 대륙붕 등 석유전 개발 및 생산
  • 가스 : 북서 대륙붕, Gorgon, Wheatstone 등 가스전 개발 및 생산, LNG 생산 및 판매
  • 신재생에너지 : 태양광, 풍력 발전 사업 투자 및 개발

해외 진출

1980년대부터 북해, 동남아시아 등 해외 사업 진출을 시작했으며, 2000년대 이후 러시아, 아프리카, 남미 등 글로벌 자원 개발을 확대했습니다. 특히, Gorgon, Wheatstone 프로젝트를 통해 연간 2천만 톤 규모 LNG를 생산 및 판매하는 세계 주요 LNG 생산 및 판매업체로 자리매김했습니다.

 

우드사이드 활동 영역

 

최근 동향

2023년 BHP와의 합병을 완료하여 세계 최대 규모의 석유 및 가스 기업으로 거듭났습니다. 또한, 탄소 배출 감축 목표 설정, 수소 에너지 사업 진출 등 친환경 에너지 사업에도 적극 투자하고 있습니다.

https://youtu.be/du3VD_J5bY4

 


한국 유전 탐사 포기 이유?

2007년부터 한국석유공사와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동해 석유 탐사를 진행했던 우드사이드는 2023년 7월 탐사 포기 의사를 밝혔습니다. 공식 입장은 '사업성이 없어서'였지만, 실제 이유는 다음과 같은 복합적인 요인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 고액 투자 대비 저조한 수익률 예상 : 오랜 기간 탐사에도 불구하고 상업적으로 채굴 가능한 규모의 석유 매장량 발견 가능성이 낮아 투자 대비 수익률이 저조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 심층 탐사의 어려움 : 해저 지형의 복잡성과 기술적 한계로 인해 심층 탐사가 어려웠으며, 이는 정확한 매장량 평가를 어렵게 만들었습니다.
  • 환경 문제 우려 : 석유 채굴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오염 문제에 대한 우려가 높아 사회적 책임 측면에서도 부담이 있었습니다.

현재 한국석유공사는 액트지오사와 한국 유전 탐사를 위해 계약한 상태이며, 액트지오는 우드사이드사가 탐사한 기록을 분석하여 유망구조 7곳을 발견했다고 발표했습니다. 하지만, 실제 석유 매장량과 채굴 가능성은 전혀 검증되지 않았습니다.

 

한국이 산유국이 되는 것이 나쁘지는 않지만, 아직 그 어떤 것도 확인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따라서 한국 유전관련 테마주에 투자할 계획이라면 신중하게 생각해 봐야 할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