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테마주의 발생과 종목

HBM(고대역폭 메모리) 연구개발(R&D) 세제공제 확대 - HBM 관련주

by 매력적인 주식 2024. 1. 24.
반응형

국가전략기술 개정안에 HBM(고대역폭 메모리)이 포함되었습니다.

기획재정부는 2024년 1월 23일 '2023년 세법개정안 후속 시행령 개정안'을 발표했습니다.

 

개정안을 보면 인공지능(AI) 분야에서 주로 쓰이는 반도체인 HBM이 국가전략기술 대상에 포함되어, 앞으로 HBM관련 R&D 비용의 경우 중소기업은 40~50%, 중견·대기업은 30~40%의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HBM 기술 개발에 대한 기업들의 투자가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290462?sid=101

 

HBM 확 키운다…최대 50% 세액공제

정부가 고대역폭메모리(HBM) 같은 국가전략기술과 군사위성·무인기 등 방위산업 분야 연구개발(R&D)에 대한 세제 혜택을 대폭 늘리기로 했다. 장기 주택담보대출 이자 상환액 소득공제 요건도 완

n.news.naver.com


HBM이 뭐야?

HBM(High Bandwidth Memory)은 고성능 메모리 반도체의 일종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1. 빠른 속도 : HBM은 DRAM을 여러 층으로 쌓아 올린 구조로,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빠릅니다.
  2. 높은 전력 효율성 : HBM은 저전력 설계를 통해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였습니다.
  3. 대용량 데이처 처리 : HBM은 대용량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어 인공지능, 빅데이터, 그래픽 처리 등에 활용됩니다.

HBM은 인공지능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자율주행 자동차, 로봇, 의료 기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활용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HBM

 

HBM 개발 과정

  1. 2010년대 초반 : 개발 시작
  2. 2015년 : 첫 사용화
  3. 2020년 : 3세대 HBM2E 출시
  4. 2021년 : 4세대 HBM3 출시

현재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이 HBM 개발을 주도하고 있으며, 매년 약 25%씩 성장하며 2028년에는 약 8조 원 규모로 성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HBM은 뛰어난 성능을 자랑하는 만큼 고난도의 작업공정으로 일반 D램 대비 2~3, HBM3의 경우 5배 이상 오르는 등 고단가로 형성되어 있어 이익률이 높습니다. 이에 따라 반도체 산업의 미래를 주도할 것으로 예측되며, 투자자들 사이에서도 큰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HBM 시장 전망 및 SK하이닉스의 개발 현황

 

https://www.sedaily.com/NewsView/29OEGJGUPB

 

SK하이닉스가 HBM에 진심인 이유 <1> [강해령의 하이엔드 테크]

산업 > 기업 뉴스: 정보기술(IT) 시장에 관심 많으신 독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지난 20일 SK하이닉스에서 흥미로운 반도체 개발 소식을 발표했습니...

www.sedaily.com

 

HBM이 필요한 이유가 뭐야?

  • AI 기술의 발전으로 대규모 모델 처리가 필요해졌습니다. HBM은 여러 개의 메모리 칩을 수직으로 쌓아 구성한 것으로, 대규모 모델 처리에 필요한 메모리 대역폭을 제공합니다.
  • 빅데이터 시대에 대용량 데이터 처리가 필요한데, HBM은 빠른 속도로 대용량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어 대용량 데이터 처리에 적합합니다.
  • GPU와 함께 사용되어 빠른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며, AI 서버의 학습과 연산 성능을 크게 향상 시킵니다.
  • 저전력 설계를 통해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여 에너지 효율성을 향상 시킵니다.

현재 D램 시장에서 HBM 규모는 10% 수준에 불과 하지만 AI 분야가 커지면서 비중이 크게 확대될 것이란 분석이 나옵니다. 시장 조사 업체 카트너는 글로벌 AI 반도체 시장 규모가 2023년 약 22조 원에서 2026년에는 약 67조 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3021340261

 

"고성능 D램이 AI혁명 이끌 것"…삼성·하이닉스 '뉴메모리' 사활

"고성능 D램이 AI혁명 이끌 것"…삼성·하이닉스 '뉴메모리' 사활, 챗GPT發 반도체 빅뱅 (2) 모바일 D램 위주였던 메모리시장 '지각변동' 챗GPT 데이터처리 극대화 위해 고성능 메모리인 HBM 필요 비주

www.hankyung.com


HBM 관련주

1. 윈팩 : SK하이닉스는 D램 테스트 외주를 국내 3사에 의뢰 중으로 이중 50% 이상을 윈팩이 담당 / 반도체 패키징 및 테스트 사업

 

2. 한미반도체 : HBM3 TSV 공정에 사용되는 TC 본딩장비 납품

 

3. 이오테크닉스 : HBM 미세 제조 공정에 필요한 레이저그루빙 등 필수 장비 공급 / 반도체 레이저마커, 레이저응용기기 제조

 

4. 인텍플러스 : 반도체 후공정 외관검사장비 전문 / 3D 검사장비 공급

 

5. 오픈엣지테크놀로지 : 정부 과제로 '고서능 AI 서버용 HBM3급 이상 인터페이스 기술개발' 등 수행 / 시스템반도체 설계 IP 기술 개발

 

6. 엠케이전자 : AI 반도체 수요 급증 전망에 공급 중인 범용 소재 물량 증대 전망 / 반도체 패키징 소재인 본딩와이어 등 생산

 

7. 티에프이 : HBM을 Test 하기 위한 0.2~0.1mm Pich의 PCR을 선행 개발하여 PKG의 개발 Roadmap에 부흥 및 신기술을 개발하여 시장진입에 선제적 위치 확보 / 반도체 검사 장비, 부품 개발

 

8. 미래반도체 : 삼성전자의 메모리, 비메모리 반도체 유통 전문

 

9. 자비스 : TSV(실리콘관통전극) 등 내부불량을 엑스레이로 촬영, 검사하며 HBM에 많이 사용되는 TSV 결함은 광학식 카메라를 사용한 검사가 불가능해 자비스 검사장비 필요 / 반도체 패키지 검사공정용 고해상도 엑스레이 검사장비 개발

 

10. 마이크로프랜드 : HBM용 프로브카드 등 개발 추진 / 반도체 조자의 전기적 기능 검사를 위한 테스트공정에 소요되는 프로브카드 제조

 

11. 코세스 : 반도체 후공정 장비인 솔더볼 어태치 시스템장비, 레이저 응용장비 등 제조 /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이 고객사

 

12. 프로텍 : 레이저 리플로우 업체(리플로우는 반도체 회로의 토대가 되는 PCB와 부품을 붙이는데 쓰이는 장비로 레이저 리플로우는 레이저를 활용해 이 작업을 수행)

 

13. 레이저쎌 : 레이저 리플로우 생산(과거 TSMC에 장비 공급)

 

14. 피에스케이홀딩스 : MASS 리플로우, Descum 장비업체(디스컴은 고성능 HBM 반도체 제조에 필요함)

 

15. 에스티아이 : SK하이닉스와 MASS 리플로우를 개발해 납품한 이력(SK하이닉스 고대역폭 HBM 반도체 제조에 MASS 리플로우 필요)

 

16. 오로스테크놀로지 : 반도체 계측 및 패키지 검사장비 업체

 

17. 제우스 : TSV 공정 분진세정 장비 생산

 

18. 펨트론 : 3D 정밀공정 검사장비 생산 / HBM, 고용량 DDR5 메모리 전환 본격화로 반도체 후공정 검사장비 4종 개발

 

19. ISC :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 HBM에 R&D용 소켓 공급(SK하이닉스의 HBM3 출하를 늘리기 위한 후공정 설비 투자 시 ISC도 관련)

 

20. 네패스 : 삼성전자 OSAT 전문 하우스, FO-WLP 기반 3D IC 제조를 위한 핵심 소재 및 공정기술 개발(AI 반도체에 적용 가능)

 

21. 테스 : PE-CVD 장비 공급

 

22. 피엠티 : 반도체 소자의 전기적 기능 검사를 위해 테스트 공정에 소요되는 프로브카드 제조, 국내 유일 3D MEMS 프로브가트 기술을 보유 중

 

23. 아이티엠 : 고대역폭 메모리(HBM)분야에 적용 가능한 CO2세정 기술(MicroJet)을 세계 최초로 개발

반응형